All
-
Swift - Swift 코드의 구성요소Programming/Swift 2020. 9. 15. 17:12
안녕하세요 BeePeach입니다 :) 오늘은 Swift 문법을 시작하기 전에 코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의 용어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TOKEN (토큰) 위에 간단한 코드를 봐주세요! 여기서 a를 쪼갤 수 있을까요? 더 작은 의미로 나눌 수 없습니다. 이렇게 a와 같이 의미를 가지며 코드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Token(토큰)이라고 합니다. 그럼 나머지 token을 찾아보세요! +, b 이렇게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것들이 token입니다. token을 구분할때는 띄어쓰기(공백)로 구분하게 됩니다. Swift에서 공백은 spacebar, tab, return 키를 사용해서 입력하는 문자를 말합니다. var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Keyword입니다.(키워드에 대해선 뒤에서 배울게요...
-
200914 - TILTIL/2021 2020. 9. 15. 16:50
Swfit 문법 Optional에 대해서 공부했다. 처음에는 어려운 개념이었는데 계속 반복을 하다 보니 이해가 됐다. 가장 기억해야 할 점은 !은 내가 코드에 작성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추출은 Optional binding으로 처리를 하자. Non-optional은 사용하기 전에 값을 가져야 한다. nil: 값을 저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하는 키워드 Unrapping ! (Forced Unwrapping Operator) Optional Binding guard 구문을 이용한 Optional Binding IUO ( Implicitly Unwrapping Optionals) ?? (Nil-coalescing Operator) Optional Chaining Chaining nil-coalescing ..
-
200910 - TILTIL/2021 2020. 9. 15. 16:46
SWIFT 문법 어제 공부한 switch 문에서 값을 바인딩하는 방법을 보았다. let a = 1 switch a { case var x: print(x) x = 100 print(x) } 원래 case 다음에 값이 와야 하는데 변수를 선언했다. 이 변수는 저 case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인 거 같다. 처음에 a와 같은 1 이 출력되고 뒤에는 바꾼 100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해봤다. 이렇게 하니 모든 값을 다 사용한 거인지 default를 추가하지 않아도 됐다. 뒤에 where로 조건을 추가하니 모든 값을 처리 못하여서 default가 필요했다. Loop statement에 대해서 공부했다. for in 문에서 Loop constant 즉 상수인 것에 주의를 하자. 반복 상수의 타입은 in에서 결정..
-
200909 - TILTIL/2021 2020. 9. 15. 16:40
SWIFT 문법 Operator에 대해서 공부했다. Unary, Binary, Ternary Operator Operand Arithmetic Operator Logical Operator Assignment Operator Comparison Operator Overflow Operator Range Operator 어려운 부분은 없었다. 주의해서 기억해야 할 점은 첫 번째 실수는 나머지 연산을 할 수 없다! 하고 싶다면 .truncatingRemainder(dividingBy: Double) method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Range Operator에서의 특징 오름차순으로 적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10 … 1과 같이 lower bound가 upper bound보다 크면 안 된다. 이..
-
200908 - TILTIL/2021 2020. 9. 15. 16:28
200907에 iOS와 Swift 문법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만… 0907에 작성을 깜빡해서 0908부터 작성하게 됐습니다😅 Swift 문법 swift 문법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공부했다. Token Expression Statement Literal Identifier Keyword 헷갈리는 부분은 func sumInt(_ a: Int,_ b: Int) -> Int { return a + b } sumInt(10, 15) 여기서 sumInt는 함수 호출식인데 25라는 값을 내는 것을 보니 표현식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print("Hello World") 도 마찬가지로 함수 호출식인데 반환하는 값은 없고 로그만 출력을 하게 되는 건데 표현식인지 아닌지 헷갈린다.. - 200915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