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1018 - TILTIL/2021 2020. 10. 18. 23:39
주말 알바를 그만뒀지만 이번 주는 친형 결혼식이 있어서 바쁜 주말이었다! 공부는 하지 못했고 한 달 전에 만들어 보았던 계산기를 있는 그대로 만들어보며 느낀 점을 말해보려 한다. 처음 만들어 본 날이 9월 8일이었는데 그때 당시에 내가 이해하고 있던 부분은 계산 함수를 구현하는 정도에 그쳤다. (사실 함수가 아니라 메서드인데 그때는 둘의 차이도 구분하지 못했다. //사칙연산 메서드 func calcArithmetic(a: Double, op: String, b: Double) -> Double { var result: Double = 0 switch op { case "+": result = a + b case "-": result = a - b case "*": result = a * b case "/..
-
201016 - TILTIL/2021 2020. 10. 17. 00:37
오늘은 Optional, Function, Closure에 대해서 복습을 했다. 오늘 복습하며 느낀 것은 개념을 다 알지만 String과 Array의 Method 활용법이 바로바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문자열의 단어들을 배열로 나누는 법 let string = "Hi my name is BeePeach" string.components(separatedBy: " ") 그리고 거꾸로 배열을 문자열로 연결하는 법 let string = "Hi my name is BeePeach" string.components(separatedBy: " ").joined(separator: "#") 이런 게 떠오르지 않았다ㅠㅠ 분명 공부했던 건데.... 문제점을 알았으니 다시 복습하면 된다! String과..
-
Swift - String Format SpecifierProgramming/Swift 2020. 10. 16. 23:25
안녕하세요 BeePeach입니다 :)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Format Specifier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String에서 제공하는 생성자를 이용합니다. 이 부분은 구조체와 클래스, 그리고 생성자를 공부하시고 보시면 이해가 더 잘 될 거예요! Format Specifier (포맷 지정자) Format Specifier는 C언어를 공부하신 분들에게는 익숙한 문법입니다. Format Specifier는 % 와 Format Character로 구성된 문자입니다. Format Specifier를 포함한 String을 Format String이라고 합니다. 예를 먼저 보고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format: "%.0f", numbe..
-
Swift - String - Escape sequence, String InterpolationProgramming/Swift 2020. 10. 15. 22:16
오늘은 Escape sequence와 String Interpolation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도록 해요! Escape Sequence String Literal에서 \(back slash)를 사용하는 문법을 Escape sequence라고 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Escape sequence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 \t \" \\ 바로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n은 줄 바꿈을 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t는 Tab을 추가해 줍니다. 공백이 추가된게 보이실겁니다. 만약 String Literal에서 "" 또는 \를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이렇게 "Hello Beepeach"와 같이 작성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유는 "는 짝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지금 코드에서는 Swi..
-
201014 - TILTIL/2021 2020. 10. 15. 02:01
오늘 유심히 복습한 부분은 ValueBinding Pattern Expression Pattern Optional Pattern Operator Loop Statement removeFirst, removeLast, PopLast 메서드의 차이를 공부했다. Optional Patter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Optional이 Enumeration이라는 것을 알아야 했다. 그리고 어제 복습했던 Enumeration Pattern을 알고 있어야 했다. for-in 반복문으로 이러한 모양을 출력하는 방법도 공부했다 removeFirst, removeLast, popLast removeFirst, removeLast는 앞의 element를 지우느냐 뒤의 element를 지우느냐의 차이가 있었는데 여기서 중요한 건..
-
Swift - String - String의 종류, Multi-line String LiteralProgramming/Swift 2020. 10. 14. 23:26
오늘은 String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Swift에서는 String의 종류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Swift String Foundation String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했던 String은 Swift String입니다. 지난 Type Casting 포스팅에서 한번 언급한 적이 있는 NSString을 기억하시나요? NSString이 바로 Foundation String입니다. 그럼 간단하게 두 String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Swift String String이 바로 Swift String입니다. String은 Structure(구조체)입니다. Structure이기 때문에 Value Type(값 형식)입니다. String을 Mutability(가변) Strin..
-
201013 - TILTIL/2021 2020. 10. 14. 02:51
Swift 문법 오늘은 Struct와 Class를 복습했다. 그러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공부했다. www.youtube.com/watch?v=vrhIxBWSJ04 옛날에 두번정도 봤던 영상이었는데 그때는 이해가 안 됐지만 지금 다시 보니 설명하는 말이 모두 이해가 갔다! 아주 상세하게는 알려주지 않았지만 큰 틀을 잡는데는 좋은 영상이었다. www.youtube.com/watch?v=jVG5jvOzu9Y&t=27s 함수형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준 영상이 있다. 영상으로 큰 틀을 잡고 구글링을 해서 상세히 보며 이해를 하고 있는 중이다. 어느 정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이해가 됐는데 함수형은 아직 좀 애매하다.. 자료들을 좀 더 보고 직접 구현해보며 이해해봐야겠다. 좀 더 공부해..
-
Swift - Tuple Decomposition, MatchingProgramming/Swift 2020. 10. 13. 17:17
안녕하세요 :) 오늘은 Tuple Decompostion과 Tuple Matchng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 보도록 해요! Tuple Decomposition Tuple을 생성했는데 Tuple Member를 각각 상수나 변수에 저장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렇게 상수나 변수에 각 멤버의 값을 할당하면 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해도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죠? 하지만 이때 Tuple Decompostion을 사용하면 코드를 더 깔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문법은 이렇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Tuple Member의 수와 생성할 상수나 변수의 이름의 개수가 일치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address는 상수나 변수로 만들고 싶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는 _(Wildcard..